[JavaScript] GMT, 그리니치 표준시 구하기[JavaScript] GMT, 그리니치 표준시 구하기
Posted at 2019. 1. 25. 01:06 | Posted in JavaScript & jQuery/JavaScript■ 사전 지식
#01. UTC, 협정 세계시
-. UTC(영어 : Coordinated Universal Time, 프랑스어 : Temps Universel Coordonné)
-. 197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국제 표준시이다. UTC는 국제원자시와 윤초 보정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다.
-. TC는 그리니치 평균시(GMT)에 기반하므로 GMT로도 불리기도 하는데, UTC와 GMT는 초의 소숫점 단위에서만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일상에서는 혼용되어 사용된다.
※ 기술적인 표기에서는 UTC가 사용된다.
#02. GMT, 그리니치 표준시
-. GMT(Greenwich Mean Time), 그리니치 표준시는 런던을 기점으로 하고, 웰링턴에 종점으로 설정되는 협정 세계시의 기준시간대이다.
-. 기준시간대여서 그리니치 표준시중 가장 빠른 시간대이다.
-. 협정 세계표준시(UTC)가 있지만, 아직도 영국 BBC 방송을 중심으로 GMT란 표현은 널리 쓰이고 있다.
-. 영국 런던에 소재한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하는 경도를 사용하기에 그리니치 천문대의 경도는 0.00이 됐다
#03. KST, 한국 표준시
-. KST(Korea Standard Time)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시로,
일본 표준시와 같은 동경 135도를 기준으로 하여 UTC보다 9시간 빠른 표준시(UTC+09:00)이다.
-. 양국 모두 일광 절약 시간제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.
-. 한반도의 경우 중앙을 지나는 동경 127도 30분을 기준으로 하여 처음으로 표준시(UTC+08:30)가 정해졌고,
1908년 4월 1일부터 1911년 말까지 시행되었다.
1912년 1월 1일에 일제 강점기의 조선총독부가 동경 135도 기준인 일본 표준시(UTC+09:00)와 동일하게 표준시를 변경하였고
현재까지 한반도에서는 UTC+09:00를 표준시로 사용하고 있다.
■ 그리니치 표준시(GMT) 구하기
# 소스코드
<html> <head> <title>:: JavaScript 협정 세계시 ::</title> <script language="javascript"> document.addEventListener("DOMContentLoaded", function() { // 기본 시간 구하기 var toTime = new Date(); document.getElementById("toNow").innerHTML = toTime.toString();
// KST와 UTC의 차이 - 분 var min = toTime.getTimezoneOffset(); document.getElementById("toMin").innerHTML = min; // KST와 UTC의 차이 - 시간 var hour = toTime.getTimezoneOffset() / 60; document.getElementById("toHour").innerHTML = hour;
// GMT(그리니치 표준시) 런던(GMT + 0) 시간 구하기 var calGmt = toTime.setHours(toTime.getHours() + hour); var calGmt = new Date(calGmt); document.getElementById("toGmt").innerHTML = calGmt.toUTCString(); }); </script> </head> <body> 현재 한국 시간 구하기 : <span id="toNow"></span> <br/> KST와 UTC의 분 차이 : <span id="toMin"></span> <br/> KST와 UTC의 시간 차이 : <span id="toHour"></span> <br/> 현재 그리니치 표준시(GMT+0)은? : <span id="toGmt"></span> </html> |
# 출력결과
'JavaScript & jQuer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cript] 콤마(,)로 구분된 문자를 배열로 합치기 (0) | 2019.02.24 |
---|---|
[JavaScript] 배열의 값을 콤마(,)로 분리하기 (0) | 2019.02.24 |
[JavaScrpt] 파일업로드시 확장자 검사하기 (0) | 2019.01.23 |
[JavaScript] 시간이 AM 혹은 PM인지 확인하기 (0) | 2019.01.22 |
[JavaScript] 날짜 자동 포맷 함수 (0) | 2019.01.11 |
[JavaScrpt] 파일업로드시 확장자 검사하기[JavaScrpt] 파일업로드시 확장자 검사하기
Posted at 2019. 1. 23. 11:48 | Posted in JavaScript & jQuery/JavaScript참고 : https://code.i-harness.com/ko-kr/q/409d5d
■ 이미지 파일 업로드시 확장자 검사하기
<html> <head> <title>:: JAVASCRIPT 특정 문자열 검색 ::</title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function confirmFileExtension(file) {
console.log(file);
// 정규식을 사용히여 jpg, jpeg, png, gif, bmp등 이미지파일의 확장자를 가진것을 추려낸다. var reg = /(.*?)\.(jpg|jpeg|png|gif|bmp)$/; if(file.match(reg)) { alert("해당 파일은 이미지 파일입니다."); } else { alert("해당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 아닙니다."); } } </script> </head> <body> <h3>이미지 파일 검색</h3> <input type="file" id="imgFile"/> <br/> <input type="button" onClick="confirmFileExtension(imgFile.value);" value="업로드"/> </body> </html> |
# 출력 결과
'JavaScript & jQuer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배열의 값을 콤마(,)로 분리하기 (0) | 2019.02.24 |
---|---|
[JavaScript] GMT, 그리니치 표준시 구하기 (2) | 2019.01.25 |
[JavaScript] 시간이 AM 혹은 PM인지 확인하기 (0) | 2019.01.22 |
[JavaScript] 날짜 자동 포맷 함수 (0) | 2019.01.11 |
[JavaScript] 더블 클릭 이벤트 방지 (0) | 2018.12.29 |
[JavaScript] 시간이 AM 혹은 PM인지 확인하기[JavaScript] 시간이 AM 혹은 PM인지 확인하기
Posted at 2019. 1. 22. 16:00 | Posted in JavaScript & jQuery/JavaScript참고 : https://electronic-moongchi.tistory.com/83
참고 : https://code.i-harness.com/ko-kr/q/87a0ab
■ 현재 시간이 오전인지 오후인지를 나타내는 함수
# 소스 코드
<html> <head> <title>:: JAVASCRIPT 날짜 출력 ::</title> 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 document.addEventListener("DOMContentLoaded", function() { // 브라우저의 현재 날짜를 받아온다. var toMeridiem = new Date(); document.getElementById("toMeridiem").value = toMeridiem.ampm(); }); // 현재 날짜값을 오전 or 오후 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Date.prototype.ampm = function() { var hours = this.getHours() < 12 ? "오전" : "오후"; // var hours = this.getHours() < 12 ? "AM" : "PM"; return hours; } </script> </head> <body> <h3>지금은 오전 or 오후 인가?</h3> <input type="text" id="toMeridiem" style="text-align:center;"/> </body> </html> |
# 출력 결과
관련포스팅 : [JavaScript] 날짜 자동 포맷 함수
'JavaScript & jQuer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GMT, 그리니치 표준시 구하기 (2) | 2019.01.25 |
---|---|
[JavaScrpt] 파일업로드시 확장자 검사하기 (0) | 2019.01.23 |
[JavaScript] 날짜 자동 포맷 함수 (0) | 2019.01.11 |
[JavaScript] 더블 클릭 이벤트 방지 (0) | 2018.12.29 |
[JavaScript] JavaScript 테스트 방식 (0) | 2018.12.25 |
[Node.js] PM2 프로세스 관리 도구[Node.js] PM2 프로세스 관리 도구
Posted at 2019. 1. 22. 11:52 | Posted in Node.jsAPI : https://pm2.keymetrics.io/docs/usage/pm2-doc-single-page
참고 : https://blog.outsider.ne.kr/1197
참고 : https://jybaek.tistory.com/716
■ PM2( Process Manager )란?
· PM2는 노드 프로세스를 관리해주는 Node.js의 프로세스 매니저( Process Manager )이다.
· 서비스중인 Node.js 프로세스가 예상하지 못한 오류로 종료( exit )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재시작해준다.
( 주로 채팅이나 웹 서비스같은 계속 서버가 종료되지 않고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. )
· 재시작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매니저 프로그램으로 qmail에서 사용하는 svscna이 존재하지만, svscna은 그냥 죽으면 프로세스만 살리는 역할만 수행한다.
· PM2는 프로세스 재시작 이외에 로그처리등의 기능을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.
■ PM2 설치
PM2는 한곳이 아니라 여러 곳에서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
기본적으로 글로벌( --global ) 셋팅으로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.
$ npm install --global pm2 |
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
PM2가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해 보자.
$ pm2 version |
위와같이 PM2가 정상적으로 설치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
■ PM2 실행
진행에 앞서 필요한 예제 파일을 하나 생성해보자.
간단한 http 모듈을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예제로 사용할 것이다.
pm2_test.js( 예제노드.js ) |
const http = require("http"); http.createServer(function(request, response) { response.writeHead(200, {"Content-Type":"text/html"}); response.end("Hello World\n"); }).listen(52275, function() { console.log("Server Running at localhost:52273"); }); |
이제 PM2를 실행해볼 것이다.
위에서 작성한 예제노드.js 파일을 등록시켜보자.
#01. PM2에 프로스세 등록
먼저 PM2에 프로세스를 등록시켜 보자.
위에서 작성한 예제파일.js 파일을 실행시켜보려고 한다.
start 명령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.
$ pm2 start 예제파일.js |
start 옵션 명령을 통해 프로세스를 등록하면
PM2 리스트에 해당 프로세스가 등록된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.
여기서 name 부분을 보면 예제노드의 이름이 자동으로 들어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는데.
--name "프로세스명" or "앱이름" 을 지정하여 원하는 명칭을 지정하여 지정하는것도 가능하다.
$ pm2 start 예제노드.js --name "APP이름" |
그럼 위와같이 name 항목에 예제파일( pm2_test )명이 아닌 직접 지정한 프로세스명( http_server )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#02. PM2에 등록된 프로세스 확인
그럼 위와같이 PM2에 해당 프로세스가 등록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실행중인 PM2 목록을 다시 확인 하기 위해서는 list 명령으로 다시 확인 할 수 있다.
$ pm2 list |
#03. PM2 프로세스 정지
이제 등록된 예제노드를 정지 시켜 보자.
stop 명령을 통해 정지시킬 수 있는데 방법은 2가지 이다.
id 번호를 입력하거나, name으로 지정된( 예제노드.js ) 파일명을 입력하면 정지 시킬 수 있다.
$ pm2 stop 인덱스번호 $ pm2 stop APP이름 |
#04. PM2 정지시킨 프로세스 재시작
정지시킨 PM2 항목은 다시 실행 시킬 수 있다.
start 명령 옵션을 통해 정시켰던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 할 수 있다.
정지시켰던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시켜보자.
$ pm2 start 인덱스번호 $ pm2 start APP이름 |
그럼 PM2 리스트 목록에 stopped → online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#05. PM2 프로세스 삭제
위에서 등록된 PM2 프로세스를 정지시켜 보았다.
그럼 이번에는 그 반대로 아예 프로세스를 제거시켜 보도록 하겠다.
삭제는 delete 옵션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.
$ pm2 delete 인덱스번호 $ pm2 delete APP이름 |
그럼 위의 이미지와 같이 PM2 실행 리스트 창에
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.
#06. PM2 프로세스 상세 정보 확인
등록된 프로세서의 상세정보를 확인 해보자.
show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$ pm2 show 인덱스번호 |
■ PM2 로그확인
#01. 로그파일( *.log )의 위치 변경
위 show 명령 옵션을 통해 PM2에 등록된 프로세스의 *.log파일의 위치가
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정보 |
경로 |
error log path |
기본경로$home .. /logs/프로세스명-error.log |
out log path |
기본경로$home .. /logs/프로세스명-out.log |
pid path |
기본경로$home .. /logs/프로세스명-0.log |
이제 각 로그 파일의 위치를 로그를 직접 지정해보자.
# Sample - 로그 경로 변경
$ pm2 start 예제노드.js --name "APP이름" --ouput ./로그파일.log $ cat 로그파일.log |
# Sample - 로그 경로 변경
$ pm2 start 예제노드.js --name "APP이름" --ouput ./로그파일.log --error ./로그파일.log --merge-logs $ cat 로그파일.log |
#02. 로그 옵션 설명
명령 옵션 |
설명 |
--log | -l |
· 출력 및 오류 로그를 모두 출력할 파일의 경로 지정 |
--outer | -o |
· 출력 로그 파일 지정 |
--error | -e |
· 오류 로그 파일 지정 |
--time |
· 표준 형식 타임스탬프를 포함한 로그 출력 |
--log-data-format |
· 사용자 지정 형식 지정 타임스탬프로 있는 로그 출력 |
--merge-logs |
· 동일한 앱 이름( name )으로 여러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ID로 파일을 분할하지 않게 지정 |
#03. 로그 표시
$ pm2 logs 인덱스번호 $ pm2 logs APP이름 |
■ PM2 모니터링
PM2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리소스 사용을 간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다.
터미널에서 메모리 및 CPU를 쉽고 직접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.
$ pm2 monit |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ode.js] SCRAPING을 위한 cheerio 모듈과 cheerio-httpcli 모듈 (0) | 2019.05.08 |
---|---|
[Node.js] node.js로 PDF 문서 생성하기 (2) | 2019.04.11 |
[Node.js] package.json과 npm i 명령 (0) | 2019.04.02 |
[Node.js] Node.js 채팅방 제작 (0) | 2019.02.12 |
[Node.js] Ubuntu에 Node.js 설치하기 (0) | 2018.10.25 |